박영민 KDDF 단장 "신약개발도 골든타임 있다" [K-신약만 제자리걸음]
-개발일정 관리와 경쟁약물 대비 우위 지속 점검해야
“후보물질의 경쟁력이 확보됐을 때 가능한 한 빠르게 제품화해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데이터를 갖고 있더라도 경쟁 후보가 먼저 시장에 진입하면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은 최근 본지와 만나 신약개발 과정에서 ‘골든타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 단장은 “개발 일정 관리와 경쟁약물 대비 우위를 지속해서 점검하고, 개발 지연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면서 “데이터 확보 시점부터는 사실상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 신약개발 생태계가 위축되지 않기 위해선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단장은 “최근 몇 년간 바이오 투자 열기가 식으면서 다수의 기업이 재정난으로 인해 개발을 계획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경쟁력 있는 새로운 과제가 조기에 사장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해 신약개발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다”라면서 “초기 개발과제에 대한 과감한 선별 투자, 기관 부담금 방식의 유연화 등이 제도적으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박 단장은 “중단된 과제라도 기술적 자산이 될 수 있는 만큼, 객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후속개발 연계가 가능하도록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생태계 지원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